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2

프로세스 개념 및 PCB, 문맥교환(Context Switching) 알아보기 프로세스란? 프로세스는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라는 개념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의 비교 프로세스는 능동성(activeness)을 띄고 있다면, 프로그램은 수동성(passivity)을 띄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통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스가 프로그램보다 작은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메모리 내부 구조 위의 그림과 깊이 동적영역인 스택, 힙 영역과 정적 영역인 데이터, 텍스트 영역이 있다. 프로세스 5단계 상태 별 설명 시작(new) : CPU를 할당받기 위한 프로세스 초기 시작점. 준비(ready) : Admitted과정을 통해 CPU를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 실행(runnin.. 2023. 7. 13.
운영체제 입문 [ OS, 인터럽트, 시스템 콜 ]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4가지 구성 요소 운영체제 개념 컴퓨터 안의 주기억장치 내 상주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모든 리소스 관리 및 할당의 주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제어 및 오류와 적절치 못한 사용을 방지,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담당 관리하는 자원이다. 운영체제 목적 사용자 측면과 시스템 측면에서의 목적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게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나타내보았다.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방식 1) 메인보드에 전력 공급 2) 중앙처리장치 초기화 3) ROM에 저장되어 있던 BIOS program 실행 ( 아래 그림 참조 ) 4) BIOS program 셀프 테스트 진행 5) 부팅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적재 ( 아래 그림 참조 ) 인터럽트란? CPU를 통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 2023.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