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는 크게 자료형 데이터와 컬렉션 데이터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print(type())을 입력한다.
1. 기본 타입과 변수
(1) 변수의 이해 & "="의 사용
a = 3
a = a + 1
※여기에서 = (등호)는 "우측 항의 값을 좌측항에 대입한다" 는 의미
※ == (등호 2개)는 "좌우의 항 값이 동일하다"는 의미
변수는 대소문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입력시 주의!
2. 숫자형 데이터
(1) 숫자형 데이터 종류
- 정수 : -1 , 0, 1, 2
print(type(100))
<class 'int'>
- 소수 : 0.1, -2.6, 0.0, ...
print(type(-2.8))
<class 'float'>
(2) 사칙연산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칙연산 기호(+,-,*,/)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 = 3
b = 4
print( a * b )
12
- 제곱 혹은 세제곱 이상의 값을 구하는 경우 **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 = 3
b = 2
print( a ** b )
9
-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경우, //, %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 = 9
b = 2
print( a//b )
print( a%b )
4
1
3)문자열 데이터
(1)문자열 입력
- 문자열(string): 대한민국,BTS,家,....
※문자형을 코드 셀에 작성할 때에는 "(쌍따옴표) 혹은 '(따옴표)를 입력해야 한다.
print("데이터 사이언스")
print('365')
print("""Joony's T-story Blog""")
print('''hello world''')
데이터 사이언스
365
Joony's T-story Blog
hello world
- 타입도 확인해보자
print(type("금도끼 은도끼"))
<class 'str'>
(2)문자열의 덧셈, 곱셈
- 문자열과 문자열을 붙여서 쓸 때
print("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문자열과 문자열을 이어서 쓸 때
print("안녕","하세요")
안녕 하세요
- 문자열과 숫자열을 곱할 때
print("복습합시다" *3)
복습합시다복습합시다복습합시다
글이 길어진 관계로...
문자열 데이터에 대해서 다음 게시글에서 마저 설명하겠습니다.^^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시계열 데이터 '분(m)' 데이터를 '시간(h):분(mm)' 형식으로 변환 (0) | 2022.12.29 |
---|---|
numpy array 와 python list 의 문법상의 차이점? (0) | 2022.12.07 |
파이썬(Python) 데이터 타입 이해하기 - (2/2) (1) | 2022.10.03 |
파이썬(Python)및 R의 장단점 [데이터 분석 언어] (0) | 2022.09.28 |
개발자 혹은 데이터 분석가라면 개발블로그를 해야하는 이유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