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분석

파이썬(Python) 데이터 타입 이해하기 - (1/2)

by 명석한 쭌이 2022. 9. 29.

데이터는 크게 자료형 데이터와 컬렉션 데이터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print(type())을 입력한다.

 

1. 기본 타입과 변수

 

(1) 변수의 이해 & "="의 사용

a = 3

a = a + 1

※여기에서 = (등호)는 "우측 항의 값을 좌측항에 대입한다" 는 의미

※ == (등호 2개)는 "좌우의 항 값이 동일하다"는 의미

변수는 대소문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입력시 주의!

 

2. 숫자형 데이터

(1) 숫자형 데이터 종류

  • 정수 : -1 , 0, 1, 2
print(type(100))

<class 'int'>

 

  • 소수 : 0.1, -2.6, 0.0, ...
print(type(-2.8))

<class 'float'>

 

 

(2) 사칙연산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칙연산 기호(+,-,*,/)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 = 3
b = 4
print( a * b )

12

 

  • 제곱 혹은 세제곱 이상의 값을 구하는 경우 **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 = 3
b = 2
print( a ** b )

9

 

  •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경우, //, %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 = 9
b = 2
print( a//b )
print( a%b )

4

1

 

 

3)문자열 데이터

 

(1)문자열 입력

  • 문자열(string): 대한민국,BTS,家,....

※문자형을 코드 셀에 작성할 때에는 "(쌍따옴표) 혹은 '(따옴표)를 입력해야 한다.

print("데이터 사이언스")
print('365')
print("""Joony's T-story Blog""")
print('''hello world''')

데이터 사이언스

365

Joony's T-story Blog

hello world

 

 

  • 타입도 확인해보자
print(type("금도끼 은도끼"))

<class 'str'>

 

 

(2)문자열의 덧셈, 곱셈

  • 문자열과 문자열을 붙여서 쓸 때
print("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문자열과 문자열을 이어서 쓸 때
print("안녕","하세요")

안녕 하세요

 

  • 문자열과 숫자열을 곱할 때
print("복습합시다" *3)

복습합시다복습합시다복습합시다

 

 

 

글이 길어진 관계로...

문자열 데이터에 대해서 다음 게시글에서 마저 설명하겠습니다.^^